원시 공동체 사회에서는 씨족 회의나 종족 회의에서 그 마을의 우두머리인 촌장이나 씨족장을 뽑거나 해임 했대요. 삼국 시대를 보면, 백제의 정사암, 신라의 화백 회 의, 고구려의 제가가 있었어요. 이 중에서 정사암 회 의는 귀족 연합 회의로 백제의 사비성(부여)에 있던 정 사암에서 중요한 나라 일을 의논하고 재상을 뽑았다고 해요. 신라의 화백 제도는 처음에는 왕의 6촌까지의 사람들이 모여 나라 일을 의논했지만 후에 귀족, 백관, 군신 합동 회의로 발전되었고 만장일치로 원칙으로 했어요. 고구려의 제가 회의는 귀족들이 모여서 왕위 계승, 대외 전쟁, 외교 문제 등을 논의했어요. 고려 시대에는 도당 회의가 있었는데 초기에는 만장일치제, 후기에는 다수결로 운영되었어요. 그러나 조선 시대에는 절대적인 왕권으로 인해..
1. 선거의 4대 원칙 • 보통 선거: 정해진 나이가 되면 모든 국민에게 똑같이 선거권을 줌, 우리나라는 만 19세 이상부터 가능 • 직접 선거: 다른 사람이 대신 투표할 수 없고 본인이 직접 투표해야 함. • 평등 선거: 한 사람에게 한 표씩 누구에게나 동등하게 선거권을 줌. • 비밀 선거: 누구에게 투표했는지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게 내 뜻대로 함 부재자 투표 • 투표권이 있는 사람들 중에서 선거 날 자기 주소가 있는 지역 투표소에 갈 수 없는 사람들도 투표를 할 수 있게 한 제도 • 군인들, 교통이 불편한 섬 주민들, 아파서 병원에 오랫동안 입원해 있는 사람, 배 타는 선원 등이 투표소까지 오지 않고도 지정된 장소에서 투표할 수 있게 함. #선거가 민주주의의 대표 제도지만 시작부터 민주적인 건 아니..
1. 선거의 의미 선거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국민을 대표해 국가의 중요한 일을 결정할 대표를 뽑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선거를 통해 뽑힌 사람에게는 국민의 대표로 일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선거의 두 번째 의미는 국민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라는 것이다.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자치 단체장 등을 뽑는 공직 선거를 통해 국민의 의견을 알 수 있고, 이것이 정치에 반영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국민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2. 우리나라 공직 선거의 종류 종류 이름 임기 대통령 선거 대통령 5년, 연임 불가 국회의원 선거 국회의원 4년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광역 - 특병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기초 - 구청장, 시장, 군수 4년 4년 지방 의회 의원 선거 광역 - 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