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1. 선거의 의미
선거의 가장 중요한 의미는 국민을 대표해 국가의 중요한 일을 결정할 대표를 뽑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선거를 통해 뽑힌 사람에게는 국민의 대표로 일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선거의 두 번째 의미는 국민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가장 널리 알려진 방법이라는 것이다.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자치 단체장 등을 뽑는 공직 선거를 통해 국민의 의견을 알 수 있고, 이것이 정치에 반영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국민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2. 우리나라 공직 선거의 종류
종류 | 이름 | 임기 |
대통령 선거 | 대통령 | 5년, 연임 불가 |
국회의원 선거 | 국회의원 | 4년 |
지방 자치 단체장 선거 |
광역 - 특병시장, 광역시장, 도지사 기초 - 구청장, 시장, 군수 |
4년 4년 |
지방 의회 의원 선거 |
광역 - 광역특별시, 광역시, 도의원 기초 - 구, 시, 군 의회 의원 |
4년 4년 |
3. 투표에 참여해야 하는 까닭
·국민의 의사가 정치에 반영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국민이 정치에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소수의 사람이 권리를 독차지하게 된다.
·국민의 요구가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투표해야 한다.
#국민들의 의견을 제대로 보여 주려면 꼭 투표를 해야 돼요
'사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접 민주주의와 간접 민주주의는 어떻게 다를까? (0) | 2020.05.08 |
---|---|
선거할 때 꼭 지켜야 할 원칙은 무엇일까 (0) | 2020.05.07 |
민주 정치의 기본 원리 (0) | 2020.05.05 |
여러 나라의 시민 혁명은 무엇을 이루어냈을까? (0) | 2020.05.04 |
역사 속의 지방 자치 (0) | 2020.05.03 |
댓글